Backend 153

JAVA 코딩 객체지향프로그래밍 OOP, 클래스 Class, static

자바 클래스 기본개념 및 기본예제 https://developernew.tistory.com/21 JAVA 코딩 객체지향프로그래밍 OOP, 클래스 Class, 함수, 메소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 Oriented Programming) 객체 중심의 프로그래밍 방식 객체끼리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방식 부품화 캡슐화 == 클래스 속성과 기능을 하나의 캡슐처 developernew.tistory.com JAVA oop class : static : 객체 생성과 상관없이 사용되는 멤버 클래스명을 통해 접근하면 된다 -> 아무리 클래스 내부더라도 클래스명을 통해 접근하는 것을 권장한다 static 멤버변수 : 모든 객체가 일괄적으로 처리되어야 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멤버변수 ..

Backend/JAVA 2023.02.16

JAVA 코딩 객체지향프로그래밍 OOP, 클래스 Class, 함수, 메소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 Oriented Programming) 객체 중심의 프로그래밍 방식 객체끼리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방식 부품화 캡슐화 == 클래스 속성과 기능을 하나의 캡슐처럼 묶어서 정의한 것 정보은닉 클래스의 멤버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접근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프로그램의 안정적 구현과 연관 상속성 클래스끼리 물려주거나 물려받는 것 다형성 하나의 클래스 객체를 여러 개의 클래스로 표현하는 것 객체(Object) : 클래스(class)라는 사용자 정의 자료형을 통해 만들어지는 변수 사전적 의미로는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 ; 하나의 완벽한 대상체 프로그램에서의 객체는 어떠한 대상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속성)와 그 대상을 컨트롤할 수 있는 기능(메..

Backend/JAVA 2023.02.16

JAVA 코딩 제어문 - 반복문 : while, for, do ~ while문

제어문 : 코드의 흐름을 제어하는 문장(문법) 코드의 일정 부분을 선택하여 실행하거나 코드의 일정 부분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제어문 제어문의 종류 조건문 : if ~ else문 조건식의 결과가 참과 거짓에 따라 실행 내용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제어문 조건문 설명 : https://developernew.tistory.com/13 선택문 : swich ~ case문 값에 따라 실행 내용을 선택하여 실행 선택문 설명 : https://developernew.tistory.com/14 반복문 : while, for, do ~ while 코드의 일정 부분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제어문 조건식이 [참]일 동안 반복하여 실행한다 ; [거짓]이 될 때 종료함 반복문 설명: https://developernew.tistory..

Backend/JAVA 2023.02.06

JAVA 코딩 제어문 - 선택문 : switch ~ case문

제어문 : 코드의 흐름을 제어하는 문장(문법) 코드의 일정 부분을 선택하여 실행하거나 코드의 일정 부분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제어문 제어문의 종류 조건문 : if ~ else문 조건식의 결과가 참과 거짓에 따라 실행 내용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제어문 조건문 설명 : https://developernew.tistory.com/13 선택문 : swich ~ case문 값에 따라 실행 내용을 선택하여 실행 선택문 설명 : https://developernew.tistory.com/14 반복문 : while, for, do ~ while 코드의 일정 부분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제어문 조건식이 [참]일 동안 반복하여 실행한다 ; [거짓]이 될 때 종료함 반복문 설명: https://developernew.tistory..

Backend/JAVA 2023.02.03

JAVA 코딩 제어문 - 조건문 : 단순if문, if~else문, if~else if~else문

제어문 : 코드의 흐름을 제어하는 문장(문법) 코드의 일정 부분을 선택하여 실행하거나 코드의 일정 부분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제어문 제어문의 종류 조건문 : if ~ else문 조건식의 결과가 참과 거짓에 따라 실행 내용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제어문 조건문 설명 : https://developernew.tistory.com/13 선택문 : swich ~ case문 값에 따라 실행 내용을 선택하여 실행 선택문 설명 : https://developernew.tistory.com/14 반복문 : while, for, do ~ while 코드의 일정 부분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제어문 조건식이 [참]일 동안 반복하여 실행한다 ; [거짓]이 될 때 종료함 반복문 설명: https://developernew.tistory..

Backend/JAVA 2023.02.03

JAVA 코딩 System.in 표준 입력 스트림, Scanner 스캐너

Stream.in : 표쥰 입력 스트림(객체) .read() : buffer안에서 데이터를 1byte씩 읽어 오는 메소드 e.g)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Test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System.out.print("정수 입력 : "); int su = 0; while(true) { int a = System.in.read(); if(a == 13) { break; } su *= 10; su += (a-48); // System.out.println(a); } buffer(버퍼) : 데이터의 처리속도, 단위, 시간 등이 서로 다른 두 장치나 프로그램 사이에서 데이..

Backend/JAVA 2023.02.01

JAVA Stream, 제어문자, 서식문자

IO 데이터 입출력 IO: Input / Output ; 입출력 CPU 기준으로 데이터가 들어가면 입력, 나오면 출력 Stream JAVA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로 모든 IO는 stream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표준 입출력을 제외한 모든 IO에서는 stream을 직접 만들어야 한다 (C, JAVA 모두 stream 방식) 표준 입출력 System.in : 표준 입력 스트림(객체) System.out : 표준 출력 스트림(객체) .println(); 출력한 후 다음줄로 이동 .print(); 출력만 .printf(); C언어의 잔재 System.out.print("출력만"); System.out.println("출력한 후 다음줄로 이동"); 제어문자 : 문자열에서(콘솔창에서) 특수한 기능을 하..

Backend/JAVA 2023.01.31

JAVA 정수형 상수 VS 실수형 상수

정수형 상수 : 정수형 상수는 기본적으로 int 형으로 인식 System.out.println(10); System.out.println(123); 정수 자료형 ; int byte : 1byte -128 ~ 127 -2^7 ~ 2^7 - 1 short : 2byte -32768 ~ 32767 -2^15 ~ 2^15 - 1 int : 4byte -2147483648 ~ 2147483647 -2^31 ~ 2^31 - 1 long : 8byte -2^63 ~ 2^63 - 1 1bit - 0 or 1 을 저장할수 있는 컴퓨터의 최소 데이터 단위 1bit * 8 = 1byte 1byte * 1024 = 1kb 1kb * 1024 = 1mb 1mb * 1024 = 1gb 1gb * 1024 = 1tb int age..

Backend/JAVA 2023.01.31

JAVA의 변수 - JAVA에서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 변수, 선언, 초기화, 호출

상수 :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는 공간 - 리터널상수, 심볼릭상수(static final...) * 리터널상수 데이터 그 자체 일정한 형식의 공간이 만들어지고 자동으로 그 공간에 저장 공간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공간을 다시 이용할 수가 없다 단발성 데이터 e.g. 10 + 20 + 30 - 일정한 형식의 공간들이 만들어지고 각각 저장된다 - 변동성이 없다 -> 상수만 사용해서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없다 그래서 변수를 사용한다 *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공간들(변수, 배열, 객체, ...)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공간 직접 일정한 형식의 공간을 만들어서 저장해야 한다 공간을 구별할 수 있는 이름이 존재한다 이름을 통해 그 공간을 다시 이용할 수가 있다 지속성 데이터 변수 : 데이터 하나를 ..

Backend/JAVA 202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