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 자료형
논리형 : 참과 거짓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자료형
boolean a = false;
System.out.println(a);
java) 참: true / 거짓: false
boolean - 1byte
조건식 : 참과 거짓을 표현하는 식
관계연산자
: 왼쪽의 값을 기준으로 두 값의 관계를 비교
<
>
<=
>=
==
!=
System.out.println(10==5);
a = 5 < 10;
논리연산자
|| 논리합 OR
&& 논리곱 AND
! 부정 NOT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10 > 0 || 10 < 50);
System.out.println(10 < 0 || 10 < 50);
System.out.println(10 > 0 || 10 > 50);
System.out.println(10 < 0 || 10 > 50);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10 > 0 && 10 < 50);
System.out.println(10 < 0 && 10 < 50);
System.out.println(10 > 0 && 10 > 50);
System.out.println(10 < 0 && 10 > 50);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10 > 5));
System.out.println(!(10 < 5));
문자 자료형
: char 2byte 0-65535
문자체계
컴퓨터는 정수밖에 처리할 수 없음
문자를 처리하기 위해 문자마다 고유한 정수값 부여
문자 사용 시 컴퓨터 내부에서는 문자에 맞는 정수값으로 저장
e.g. 아스키코드, 유니코드
아스키코드
: C계열 언어에서의 기본 문자 형식
1byte 문자 체계
0~127까지 총 128가지의 문자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문자 체계
e.g. 영문자, 숫자, 특수기호, 제어문자
키보드의 키값
유니코드 ; UTF-8
: JAVA, Python 등의 언어에서 기본문자형식으로 사용
2byte 문자 체계
0~127까지는 아스키코드와 동일 + 이 세상의 모든 문자 = 약 6만 개
->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문자 체계
char ch = 'A';
System.out.println(ch);
System.out.println((int)ch);
ch = '가';
System.out.println(ch);
System.out.println((int)ch);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 String
참조형
JAVA에서 문자열을 총괄하는 클래스(사용자 정의 자료형) ; 변수처럼 사용하지만 class이다
String name = "이름";
System.out.println(name);
name = "NAME";
System.out.println(name);
. (멤버 참조 연산자): 객체or클래스의 멤버를 참조(호출)하는 연산자 ; 객체 또는 클래스를 구성하는 것들
System.out.println(name.toUpperCase());
System.out.println(name.length());
System.out.println(charAt(0));
기본적으로 문자열은 연산 불가 (단, 더하기는 가능)
System.out.println(name + 100);
System.out.println(name + 100 + 200);
System.out.println(name + (100+200));
System.out.println(100 + name);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코딩 System.in 표준 입력 스트림, Scanner 스캐너 (0) | 2023.02.01 |
---|---|
JAVA Stream, 제어문자, 서식문자 (0) | 2023.01.31 |
JAVA 정수형 상수 VS 실수형 상수 (0) | 2023.01.31 |
JAVA의 변수 - JAVA에서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 변수, 선언, 초기화, 호출 (1) | 2023.01.31 |
JAVA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 (1) | 2023.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