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Spring Boot 3

Java Spring Boot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설치/기본 세팅

스프링부트는 설정이 반이다 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대부분의 버전 관리나 설정이 자동화됨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전에 미리 의존성을 주입해 놓고 사용 STS: 스프링부트 전용 개발 툴 처음 스프링부트 개발을 접할 때 권장하는 편 -> 의존성 관리가 편리하고 설정이 적은 편이다 -> 톰캣과 같은 서버도 내장되어 있으므로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 Spring initializr로 프로젝트 기본 패키지 생성 https://start.spring.io/ spring initializr로 기본 프로젝트 생성하는 법 ↓↓↓↓↓↓↓↓↓↓↓↓↓↓↓↓↓↓↓↓↓↓↓↓↓↓↓↓↓↓↓↓↓↓↓↓↓ https://developernew.tistory.com/233 Java Spring Boot 자바 ..

Java Spring Boot 스프링부트 메모리 삭제

메모리 비우기 Window > Preferences General > Show heap status 체크 > Apply and Close Show heap status 메뉴를 통해 메모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일반 학습프로그램에서는 많이 소모하지 않겠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프로그램이 무거워진다 프로그램이 느려진다는 느낌이 들 때 비워주면 좋을 듯 -> 휴지통 모양으로 메모리 삭제 211M에서 74M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ackend/Spring Boot 2023.07.27

Java Spring Boot 스프링부트 STS 패키지 프레젠테이션 계층형으로 보기

아주 간단한데 생각보다 모르는 사람 많아서 기록으로 남겨두려고 쓰는 포스팅 패키지 프레젠테이션 설정 STS내에서 패키지의 수와 종류가 많아지면 계층형 구조로 보는 것이 더 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기본 세팅은 플랫 형태로 되어 있는데 하위 패키지가 병렬 구조로 나열되어 보이는 형식이다 계층형 구조로 보는 방법은 아주 간단한데 package explorer 오른쪽 모서리에 작은 동그라미 세 개가 세로로 늘어선 모양을 클릭한다 > Package Presentation > Hierachical 하이어라키컬로 설정해 주면 끝 패키지가 계층형 구조로 변경되어 하위 폴더가 분리되어 늘어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ackend/Spring Boot 2023.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