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2022년 1회 08 - 프로그래밍 언어 [Python]
08 다음은 Python의 리스트 객체에 속한 메소드들에 대한 설명이다. 각 괄호(①~③)에 해당하는 메소드의 이름을 <보기>에서 찾아 쓰시오.
Python에서는 여러 요소들을 한 개의 이름으로 처리할 때 리스트(List)를 사용하며, 각 요소에는 정수, 실수, 문자열 등 다양한 자료형을 섞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는 메소드를 활용하여 요소를 추가 및 삭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렬하거나 다른 리스트와 병합하는 등의 다양한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ㆍ( ① ): 기존 리스트에 인수의 요소들을 추가하여 확장하는 메소드로, 여러 값을 한 번에 추가할 수 있다. ㆍ( ② ): 리스트에서 맨 마지막 또는 인수의 값에 해당하는 위치의 요소를 삭제한 후 반환한다. ㆍ( ③ ): 리스트에 저장된 각 요소들의 순서를 역순으로 뒤집어 저장하는 메소드이다. |
<보기>
ㆍpop() | ㆍpush() | ㆍreverse() | ㆍindex() |
ㆍwrite() | ㆍsort() | ㆍextend() | ㆍcopy() |
답
① extend()
② pop()
③ reverse()
해설
<파이썬의 리스트>
pop(위치): 리스트의 ‘위치’에 있는 값을 출력하고 해당 요소를 삭제함
extend(리스트): 리스트의 끝에 새로운 ‘리스트’를 추가하여 확장함
reverse(): 리스트의 순서를 역순으로 뒤집음
sort(): 리스트를 정렬하며, 기본값은 오름차순
- reverse 속성을 이용하여 정렬 방식을 지정할 수 있음(True-내림차순, False-오름차순)
ex. [2, 1, 3].sort() → [1, 2, 3] [2, 1, 3].sort(reverse=True) → [3, 2, 1]
index(값): 리스트에서 ‘값’이 저장된 요소의 위치를 반환함
ex. [10, 11, 12].index(12) → 2
count(값): 리스트에서 ‘값’이 저장되어 있는 요소들의 개수를 반환함
ex. [1, 0, 1, 0, 0].count(0) → 3
copy(): 리스트를 복사
새로운 리스트는 기존의 리스트의 주소를 공유하기 때문에
새로운 리스트를 변경하면 기존의 리스트도 변경됨
<세트 관련 주요 메소드>
pop(): 세트의 값을 출력하고 요소를 삭제함
ex. {10, 11, 12}.pop() → 10 출력 → {11, 12}
add(값): 세트에 ‘값’을 추가함
ex. {10, 11, 12}.add(13) → {10, 11, 12, 13}
update(세트): 세트에 새로운 ‘세트’를 추가하여 확장
ex. {’a’, ‘b’, ‘c’}.update({’c’, ‘d’}) → {’a’, ‘b’, ‘c’, ‘d’}
remove(값): 세트에서 ‘값’을 찾아 해당 요소를 삭제함
ex. {10, 11, 12}.remove(10) →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