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기출문제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2년 1회 02 - 용어

쏠솔랄라 2025. 7. 19. 12:05

 

 

 

12 다음 설명의 RAID에 해당하는 레벨(Level)을 답 란의 괄호 안에 숫자로 쓰시오.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로 디스크 배열을 구성하는 데이터 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들에 분산 저장할 경우 그 블록들을 여러 디스크에서 동시에 읽고 쓸 수 있으므로 디스크의 속도가 매우 향상되는데, 이 기술을 RAID라고 한다. RAID 방식 중 패리티가 없는 스트리핑된 2개 이상의 디스크를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이 방식은 디스크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입, 출력 속도 및 저장 용량이 배로 증가하지만, 하나의 디스크만 손상되어도 전체 데이터가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해설

RAID0
레이드 제로
스트라이핑 방식: 데이터를 저장할 때 쪼개서 저장하는 것
중복저장x, 에러검출x
RAID1
레이드1
미러링: 하나의 데이터를 중복 저장
안정도가 매우 올라감, 데이터 유실이 없음, 높은 신뢰도
RAID2
레이드2
스트라이핑 방식
해밍코드를 사용해 검증한 값을 별도의 하드디스크에 저장
같은 내용의 코드를 여러 곳에 중복 저장
RAID3
레이드3
스트라이핑 방식
오류 검증을 위해 Parity를 이용해 검증한다(byte단위)
RAID4
레이드4
레이드3과 같이 패리티를 이용해 오류 검증
오류 검증 단위가 달라짐: 바이트 → 블록 단위
속도가 더 빨라짐
RAID5
레이드5
레이드4에서 패리티 디스크를 없애고
패리티 블록을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분산해서 저장함
RAID6
레이드6
패리티 블록을 중복하여 하드디스크에 분산해서 저장함
데이터 안정성을 높임